원격 접속, 이거 진짜 편하잖아요? 어디 있든 내 컴퓨터를 바로 눈앞에서 쓰는 것처럼 제어할 수 있으니 말이에요. 오늘은 윈도우에서 이 원격 접속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그리고 쓰면서 궁금할 만한 것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원격 접속을 하여 어디서나 편하게 이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음, 윈도우에서 원격 접속을 처음 설정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해요. 일단 시작 메뉴를 누르고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으로 들어가 보세요. 거기서 시스템 메뉴를 찾으면 오른쪽에 여러 항목이 뜨는데, 쭉 내리다 보면 원격 데스크톱이라는 게 보일 거예요. 이걸 클릭하면 나오는 화면에서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옵션을 켜주기만 하면 기본적인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은 끝이에요. 진짜 별거 아니죠?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탑을 켜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원격 데스크탑을 켠다는 게 결국 원격 연결을 허용한다는 뜻인데요, 아까 말씀드린 대로 설정 앱에서 시스템, 그리고 원격 데스크톱 항목으로 가서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옆에 있는 스위치를 켜주면 돼요. 이걸 켜면 윈도우 방화벽에서도 자동으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허용하도록 규칙이 추가돼요. 기본적으로 3389번 포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포트가 원격 접속의 문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케이크와 케잌의 외래어 맞춤법
케이크와 케잌 중 올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정답은 케이크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영어 'cake'는 우리말 소리 체계에 맞춰 케이크로 적는 게 맞거든요. 케잌이나 케익처럼 쓰는 건 표준
parktech.tistory.com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에서 포트 번호는 중요하나요?
네, 솔직히 말하면 포트 번호는 꽤 중요해요. 기본적으로 3389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보안이나 다른 이유로 이 번호를 바꾸고 싶을 때가 있거든요. 만약 포트 번호를 바꿨다면, 나중에 다른 컴퓨터에서 이 컴퓨터로 원격 접속할 때 바꾼 포트 번호를 정확히 입력해 줘야 연결이 돼요. 집 주소는 아는데 문 번호를 모르면 못 들어가는 거랑 비슷하죠. 그래서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할 때 포트 번호를 변경했다면 꼭 기억해둬야 해요.
윈도우 원격 접속에서 IP 주소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원격 접속을 하려면 접속하려는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하잖아요? 그 주소 역할을 하는 게 바로 IP 주소예요. 이걸 알아보려면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야 하는데, 윈도우 검색창에 cmd라고 치면 나와요. 거기서 ipconfig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네트워크 정보가 쫙 뜨는데, 그중에 IPv4 주소라고 된 부분이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예요. 제 경험상 여러 개가 나올 수도 있는데, 보통 인터넷에 연결된 주소를 찾으면 돼요.
윈도우 원격 접속 시 인증서 오류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 이거 저도 처음 겪었을 때 좀 당황했었는데, 인증서 오류 메시지가 뜰 때가 있어요. 보통 '이 컴퓨터의 ID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뭐 이런 식으로 나오거든요. 이건 연결하려는 컴퓨터의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서 발급받은 게 아니거나 이름이 일치하지 않아서 그래요. 만약 내가 접속하려는 컴퓨터가 확실하다면, 그냥 예(Y) 버튼을 눌러서 연결을 계속 진행해도 괜찮아요. 사용 자체에는 문제가 없더라고요. 물론 모르는 컴퓨터인데 이런 메시지가 뜨면 조심해야겠죠?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에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할 수 있나요?
네, 당연히 할 수 있어요.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할 때 어떤 계정으로 들어갈 건지 지정할 수 있거든요. 기본 설정은 현재 윈도우에 로그인된 계정을 사용하게 되어 있지만, 보안이나 관리 목적으로 다른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서 그 계정으로만 원격 접속을 허용할 수도 있어요. 원격 데스크톱 사용자 항목에서 특정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주면 되는데, 이때 추가하려는 계정은 반드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야 해요. 비밀번호 없는 계정은 원격 접속이 안 돼요.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어떻게 구분되나요?
이거 처음에 좀 헷갈릴 수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이래요. 서버 컴퓨터는 내가 원격으로 *접속할 대상* 컴퓨터예요. 그러니까 제어당하는 쪽이죠. 그리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컴퓨터예요. 제어하는 쪽인 거죠.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할 때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을 켜는 컴퓨터가 바로 서버가 되는 거예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 앱 같은 걸 실행해서 서버 컴퓨터의 IP 주소나 컴퓨터 이름을 입력해서 접속을 시도하는 거고요. 서버 컴퓨터는 IP 주소가 바뀌지 않게 미리 준비해두는 게 접속할 때 편해요.
1.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에서 방화벽이 느려질 수 있나요?
음... 솔직히 말하면 방화벽 설정이 바뀌면 아주 미미하게라도 시스템 리소스에 영향을 줄 수는 있겠죠. 그런데 일반적으로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한다고 해서 컴퓨터 전체 속도나 방화벽 성능이 눈에 띄게 느려지거나 하지는 않아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특정 포트만 열어주는 거라 크게 걱정할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2.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하면서 내 컴퓨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나요?
네, 이건 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부분인데요.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통해 원격 연결을 허용한다는 건, 외부에서 내 컴퓨터로 들어올 수 있는 문을 열어두는 것과 같아요. 그래서 보안에 신경 써야 해요. 특히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환경이라면 더더욱 그렇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켜두거나,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사용하는 게 좋아요.
3.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통해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나요?
네, 아까 위에서도 잠깐 이야기했지만,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당연히 접속할 수 있어요. 다만, 해당 계정으로 접속하려면 그 계정의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즉 자격 증명이 정확해야 해요. 아무 계정으로나 막 접속할 수 있는 건 아니니 안심하세요.
4.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에서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장 중요한 건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거예요. 추측하기 쉬운 비밀번호는 절대 안 돼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할 때는 VPN 같은 걸 이용해서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접속하는 게 훨씬 안전해요. 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꺼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항상 최신 윈도우 업데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봐요.
5.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해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해제하는 건 설정하는 것만큼이나 간단해요. 처음에 윈도우 원격 접속 설정을 했던 그 위치, 즉 설정 > 시스템 > 원격 데스크톱 항목으로 다시 가서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옵션 스위치를 끔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돼요. 그럼 외부에서 더 이상 이 컴퓨터로 원격 접속을 시도할 수 없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원격 접속 시 외부에서 내 컴퓨터 IP 주소가 바뀌면 어떻게 하나요?
공유기 설정에서 포트포워딩과 DDNS 기능을 설정하면 IP 주소가 바뀌어도 안정적으로 접속 가능
회사 컴퓨터에 원격 접속하려면 어떤 설정이 더 필요한가요?
회사 내부망에 접속할 수 있는 VPN 설정이 필요하며, 방화벽과 보안 정책 허용도 확인해야 함
윈도우 홈 에디션에서도 원격 접속을 사용할 수 있나요?
윈도우 홈은 원격 접속 서버 기능이 없기 때문에 원격 제어를 위해선 타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게 필요